파삭의 블로그

1. Cold backup(닫힌 백업 / closed backup)

Cold backup은 데이터베이스를 종료시킨 후(shutdown) 

파일들을 백업


★ Cold backup 시 주의사항

 (1) 모든 파일은 동일한 checkpoint SCN을 가져야 함

 (2) 정상적인 shutdown 이어야 함.

 (3) archive log mode / no archive log mode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

 (4) Data files, online redo log flies, control files 모두를 

     백업 받을 수 있다.

 (5) Tablespace를 Offline 시키고 받는 백업도 일종의 

     Cold backup 이라 할수 있다.


※ Cold backup 수행하기

 1.백업 대상 확인


▶ Data file

SELECT name , status FROM  v$datafile;


▶ Control file

SELECT name FROM v$controlfile;


▶ Redo log file

SELECT a.group# , a.member , b.bytes/1024/1024 MB ,

          b.archived , b.status

FROM v$logfile a , v$log b

WHERE a.group# = b.group#

ORDER BY 1,2;


2. DB 종료(정상 종료)

 shutdown immediate


3. 전체 파일 백업 수행

 백업 경로( /app/coldbackup )

coldbackup 을 위한 파일 생성


▶ Data file backup

cp -av /app/oracle/oradata/orcl/*.dbf /app/coldbackup/





※백업을 받아야 하는 대상은 필수 파일과 선택 파일이  있다.

★ 필수 파일

  1. Data file

  2. Control file

  3. Redo log file


☆ 선택 파일

  1. Parameter file

  2. Password file


1. Data file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

현재 사용중인 Data file 확인

SELECT name , status FROM v$datafile;


2. Control file (DB를 운영하는데 중요한 내용이 들어있는 파일)

현재 사용중인 Control file 확인 

SELECT name FROM v$controlfile;

♧여기에서 보이는 Control file만 사용 가능한 파일이고 

서버에 이 파일들 말고 다른 Control file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사용할수 없다.


3. Redo log file

(데이터에 변경이 일어난 내용을 복구에 사용하기 위해 저장하고 있는 파일)

현재 사용중인  Redo log file 확인

SELECT a.group# , a.member ,

         b.bytes/1024/1024 MB , b.archived , b.status

FROM v$logfile a , v$log b

WHERE a.group# = b.group#

ORDER BY 1,2;


4. Parameter file / Password file

 Parameter file은 Oracle 서버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로 이 파일이 손실될 경우

 Oracle 서버가 시작되지 않는다

 반드시 백업 받아야 하는 파일은 아니지만 백업 받아 두는 것이

 훨씬 유용하다.


password file은 sysdba 권한의 암호를 저장히는 파일이다

일반적으로 시용자 의 암호는 Dictionary에 저장되어서

DB가 오픈된 후 조회하게 된다.

그러나 DB가 shutdown 되어 있는데 startup 하려면 sysdba 

권한으로 로그인 해야 하는데 sysdba 암호를 Dictionary 

저장해 둔다면 DB가 종료되어 있을 때는 로그인을

못하고 로그인을 못하면 DB를 시작할 수 없다. 

그래서 Oracle은 sysdba 암호를 일반 파일에 저장한다.





 


1. archive log file 경로 설정


2. DB 종료


3. DB Mount 로 시작


4. archive log mode 확인


5. archive log mode 변경


6. archive log mode 변경 확인


7. DB Open



1. archive log file 경로 설정

archive log file이 저장 될 파일 생성


alter system set 

log_archive_dest_1='location='/app/data/arc1' 

scope = spfile (첫번째 저장 경로 지정)


alter system set 

log_archive_dest_2='location='/app/data/arc2' 

scope = spfile (두번째 저장 경로 지정)


2. DB 종료

shutdown immediate


3. DB Mount 로 시작

startup mount


4. archive log mode 확인

archive log list


5. archive log mode 변경

alter database archivelog


6. archive log mode 변경 확인

archive log list


7. DB Open

alter database open




1. $ORACLE_HOME/sqlplus/admin 으로 이동

2. vi glogin.sql 

3. set sqlprompt "_user>"

    define_editor=vi  


Linux 설치

Linux 공부 2015. 3. 11. 20:07 by 파삭


설치 파티션 나누기
/           필수공간
Swap       가상메모리공간
/boot       부팅관련된 파일
/apm       mysql , php , apache 설치공간
/home      사용자 홈디렉토리


'Linux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기초 지식  (0) 2015.03.10

Linux 기초 지식

Linux 공부 2015. 3. 10. 12:15 by 파삭

Linux가 무엇인가?

1991년 11월에 리누스 토르발즈(Linus Torvalds)가 버전 0.02을 공개한 유닉스 기반 개인컴퓨터용 공개 운영체제이다. 유닉스와 거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무료라는 장점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 및 학교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리눅스 [Linux] (두산백과)


Linux의 장점

 1 강력한 서버기능:DNS서버,웹서버(Apache),FTP,메일서버,파일서

 2 시스템사항을 많이 요구하지 않음.

 3 적은 비용:회사에서 적은비용으로 인프라 구축

 4. 공짜임과 동시에 소스의 수정,삭제,배포의 자유를 의미

 5. 좁은 의미의 리눅스 ->핵심커널

 6. 넓은 의미의 리눅스 ->핵심커널 + S/W패키지, 유틸   = 배포판

--------------------------------------------

Linux 커널버전 종류

 - 안정버전 : 버그수정, 드라이버 추가 등의 작은변화 

                (광범위한 범위에 안정적으로 사용가능)

 - 개발버전 : 큰 변화 (새로운 해결책을 실험)


X.Y.Z.W

 - X : 주버전

 - Y : 부버전 (짝수면 안정버전, 홀수면 개발버전)

 - Z : 개정판

 - W : 안정 버전 일련번호 (안정버전에서만 사용)

[출처] 리눅스 커널 버전 명명규칙|작성자 qhdcl


리눅스 사용시 유의해야 할 사항

 1. 모든작업을 명령어 위주로 진행

 2. 모든것이 파일개념 -> 셋팅을 스크립트 위지 -> 데몬 재시작

 3. 무소식이 희소식이다.

 4. 무엇을 해야될 지 생각을 하면서 작업을 해야한다.





'Linux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설치  (0) 2015.03.11


VM -> Removable Devices -> CD/DVD(IDE) -> Connect 선택


rpm 설치 준비 (cd /media/RHEL_5.3 x86_64 DVD/Server)


rpm -Uvh libaio-devel-0.*


rpm -Uvh sysstat-7.*


rpm -Uvh unixODBC-2.*


rpm -Uvh unixODBC-devel-2.*


rpm -Uvh numactl-devel-*


vi /etc/sysctl.conf


fs.aio-max-nr = 1048576

fs.file-max = 6815744

kernel.shmall = 2097152

kernel.shmmax = 2069800960

kernel.shmmni = 4096

kernel.sem = 250 32000 100 128

net.ipv4.ip_local_port_range = 9000 65500

net.core.rmem_default = 262144

net.core.rmem_max = 4194304

net.core.wmem_default = 262144

net.core.wmem_max = 1048576 


sysctl -p 적용하기


vi /etc/security/limits.conf 내용 추가

oracle    soft    nproc    2047

oracle    hard    nproc    16384

oracle    soft    nofile    1024

oracle    hard    nofile    65536

oracle    soft    stack    10240


vi /etc/pam.d/login 내용추가


session    required    pam_limits.so


vi /etc/redhat-release 내용 수정


release 4 수정


유저 생성

groupadd oinstall

groupadd dba

groupadd oper

useradd -g oinstall -G dba,oper oracle

passwd oracle


chown -R oracle:oinstall /app

chmod -R 775 /app


su - oracle (오라클 계정으로 접속)


.bash_profile 수정



TMP=/tmp; export TMP

TMPDIR=$TMP; export TMPDIR

ORACLE_HOSTNAME=oracle; export ORACLE_HOSTNAME

ORACLE_UNQNAME=orcl; export ORACLE_UNQNAME

ORACLE_BASE=/app/oracle; export ORACLE_BASE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1g; export ORACLE_HOME

ORACLE_SID=orcl; export ORACLE_SID

PATH=/usr/sbin:$PATH; export PATH

PATH=$ORACLE_HOME/bin:/app/oracle/grid/11g/bin:$PATH; export PATH

LD_LIBRARY_PATH=$ORACLE_HOME/lib:/lib:/usr/lib; export LD_LIBRARY_PATH

CLASSPATH=$ORACLE_HOME/JRE:$ORACLE_HOME/jlib:$ORACLE_HOME/rdbms/jlib; export CLASSPATH

DISPLAY=192.168.10.51:0.0; export DISPLAY


. ./.bash_profile 적용하기


ASM 생성을 위한 Disk 추가 작업


OS Shut Down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클릭


Add 클릭


Hard Disk 선택 후 Next 클릭


SCSI 선택 , Independent 선택 , Persistent 선택 후 Next 클릭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 후 Next 클릭



Maximum disk size(GB) : 10

Allocate all disk space now 선택 후 Next 클릭


Finish 클릭


Advanced 클릭


SCSI 1:0 으로 변경


Disk 하나 더 추가 Add 클릭


Hard Disk 선택 후 Next 클릭


SCSI 선택 ,  Independent 선택 , Persistent 선택 후 Next 클릭


Create a new virtual disk 선택 후 Next 클릭


Maximum disk size(GB) : 10

Allocate all disk space now 선택 후 Next 클릭


Finish 클릭


Advanced 클릭


SCSI 1:1 으로 변경


Disk2개 생성 확인 후 OK 클릭


Power on 클릭


Username 입력


Password 입력


Linux LVM(8e) 으로 파티션 작업(sdb)


Linux LVM(8e) 으로 파티션 작업(sdc)



fdisk -l (LVM 관련 디스크 확인)


pvcreate 로 물리적 디스크로 매핑

pvcreate /dev/sdb1 /dev/sdc1


개별 디스크를 1개의 그룹으로 만들기 

vgcreate asm /dev/sdb1 /dev/sdc1


논리적 볼륨으로 나눈다 (asm1에 DB 설치)

lvcreate -L 10G -n asm1 asm


논리적 볼륨으로 나눈다 (fra1에 flashback 정보 저장)

lvcreate -L 9.5G -n fra1 asm


lvscan


Xftp 로 ASM library 이동


ASM library 설치

rpm -Uvh oracleasm*


libarary 환경설정

/etc/init.d/oracleasm configure

Default user to own the driver interface []: oracle

Default group to own the driver interface []: dba

Start Oracle ASM library driver on boot (y/n) [n]: y

Scan for Oracle ASM disks on boot (y/n) [y]: y


/etc/init.d/oracleasm enable


/etc/init.d/oracleasm start


ASM 디스크 생성 

/etc/init.d/oracleasm createdisk asm1 /dev/asm/asm1


ASM 디스크 생성 

/etc/init.d/oracleasm createdisk fra1 /dev/asm/fra1


스캔작업 

oracleasm scandisks 


생성리스트 확인

oracleasm listdisks


xftp 로 오라클 설치 파일 이동하기(oracle 유저)

(1of7 ~ 3of7) 3개 파일까지 이동


unzip 으로 압축해제


GUI 환경에서 설치하기 위해 Xmanager 실행


ASM 엔진 설치를 위해 /app/grid로 이동 

./runInstaller 실행


설치 시작


Skip software updates 선택 

Next 클릭


RAC 환경이 아닌 Single Instance 환경에서 ASM 설치하기 위해

Configure Oracle Grid Infrastructure for a Standalone Server 선택  

Next 클릭


Korea 추가 

Next 클릭


Disk Group Name : DATA

Redundancy : External

Candidate Disks 선택

ORCL:ASM1 선택 

Next 클릭


Password 설정

Next 클릭


Yes 클릭


Next 클릭


Yes 클릭


Software Location : /app/oracle/grid/11g 로 변경

Next 클릭


Next 클릭


설치 전 검사


Summary 확인

Install 클릭


설치 진행 중..


스크립트 두개를 root 계정에서 실행하기


/app/oraInventory/orainstRoot.sh(root 계정)


/app/oracle/grid/11g/root.sh(root 계정)


다 실행 했으면  OK 클릭


설치 완료 Close 클릭


oracle 엔진 설치를 위해 /app/database 로 이동

(oracle 유저)

./runInstaller 실행


설치 시작


I wish ... 체크 해제

Next 클릭


Yes 클릭


Skip software Updates 체크

Next 클릭


Install database software only 

(oracle 엔진만 설치)

Next 클릭


Single instance database installation 체크

(Single instance 설치)

Next 클릭


Korea 추가

Next 클릭


Enterprise Edition 체크 

Next 클릭


Oracle base 경로 확인 : /app/oracle

Software Location 경로 확인 : /app/oracle/product/11g


Next 클릭


설치 전 검사


Summary 확인

Install 클릭


설치 진행 중..


스크립트 실행


root 계정에서 실행 

/app/oracle/product/11g/root.sh


스크립트 실행 후 OK 클릭


오라클 엔진 설치 완료


asmca

FRA 디스크 그룹을 하나더 생성


Create 클릭


Disk Group Name : FRA

External 체크

ORCL:FRA1 체크

OK 클릭


Disk Group 생성 


FRA Disk Group 추가 확인

Exit 클릭


Yes 클릭


dbca

database 생성


설치 시작


Next 클릭


Create a Database 체크

Next 클릭

 

Custom Database 체크

Next 클릭


Global Database Name : orcl

SID : orcl

Next 클릭


Configure Enterprise Manager 체크 해제

Next 클릭


Password 설정

Next 클릭


Yes 클릭


Storage Type : ASM

Use Oracle-Managed Files 체크 

Browse 클릭


DATA 체크 

OK 클릭


Database Area 확인

Next 클릭


Specify Fast Recovery Area 체크

Browse 클릭


FRA 체크

OK 클릭


Fast Recovery Area 확인

Next 클릭


전부 체크 해제

Standard Database Components 클릭


전부 체크 해제


Yes 클릭


체크 해제 확인

OK 클릭


체크 해제 확인

Next 클릭


Character Sets 클릭

Choose from the list of character sets 체크

Database Character Set : K016MSWI....선택

Next 클릭


Database Storage 확인

Next 클릭


Create Database 체크

Finish 클릭

Summary 확인

OK 클릭


설치 진행 중..


설치 완료


sqlplus 로 status 와 instance_name 확인


asm instance 확인을 위해 .bash_profile 수정


ORACLE_SID=+ASM

ORACLE_HOME=@ORACLE_BASE/grid/11g


.bash_profile 적용

sqlplus / as sysasm 으로 접속

status , instance_name 확인

'ORACLE 설치 > RHE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5 설치 (VM WARE 환경)  (0) 2015.02.25

RHEL5 설치 (VM WARE 환경)

ORACLE 설치/RHEL5 2015. 2. 25. 16:38 by 파삭


ENTER 클릭 (설치 시작화면)


Skip 선택


Next 클릭


Next 클릭(설치 시 사용할 언어 선택)


Next 클릭(시스템 적용할 키보드 선택)


Skip 선택


Skip 선택


yes 선택


Create custom layout 클릭


Single Disk로 설정하여 sda 하나로 구성됨을 확인

New 클릭


Mount Point : /

File System Type : ext3

Size(MB) : 10000

Fixed size 체크 

OK 클릭


New 클릭


File System Type : swap

Size(MB) : 4096

Fixed size 체크

OK 클릭


New 클릭


Mount Point : /app

File System Type : ext3

Fill to maximum allowable size 체크

OK 클릭


드라이브 생성 공간 확인 

Next 클릭


Next 클릭


Edit 클릭


Enable ipv6 support 체크 해제

Enable ipv4 support 체크

Manual configuration 체크

IP Address : 192.168.137.100

Prefix(Netmask) : 255.255.255.0

OK 클릭


Hostname : oracle

Gateway : 192.168.137.2

Primary DNS : 168.126.63.1

Next 클릭


Asia/Seoul 선택 후 Next 클릭


 Password 입력


Customize now 선택 후 Next 클릭


Desktop Enviroments > GNOME Desktop Enviroment


Applications > Editors

Applications > Graphical Internet

Applications > Text-based Internet


Development > Development Libraries 

Development > Development Tools

Development > Legacy Software Development


Servers > Server configuration Tools


Base System > Administration Tools

Base System > Base

Base System > Legacy Software Support

Base System > System Tools

Base System > X Window  System


Next 클릭


설치 중


Reboot 클릭


Forward 클릭


Yes 체크 

Forward 클릭


Firewall : Disabled

Forward 클릭


Yes 클릭


SELinux Setting : Disabled

Forward 클릭


Yes 클릭


Enable Kdump 체크 해제

Forward 클릭


Forward 클릭


No 체크

Forward 클릭


No 클릭


Forward 클릭


Forward 클릭


Continue 클릭


Forward 클릭


Finish 클릭


OK 클릭


Username : root


Password 입력


OS 설치 완료


'ORACLE 설치 > RHE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11g(11.2.0.4) ASM 설치 (RHEL 5 -Single Instance)  (0) 2015.02.28

패치 전 DB shutdown


패치 전 리스너 종료

패치 전 em 종료


profile 수정


ORACLE_HOME 수정 (11g -> 11.2.0.4)


profile 적용

Xftp로 11g 패치 파일(11.2.0.4.0) 이동


11g 패치파일 압축 해제


database로 이동 후 ./runInstaller 실행


체크 해제 후 Next 클릭


Yes 클릭


Skip software updates 체크 후 Next 클릭


Upgrade an existing database 체크 후 Next 클릭


Korea 추가 후 Next 클릭


Enterprise Edition 체크 후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Fix & Check Again 클릭


Script 복사


root 계정에  Script 실행


OK 클릭



Install 클릭



Scripts 복사


root계정에 스크립트 실행하기(y , y)


OK 클릭



netca 자동 실행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Finish 클릭


dbua 자동실행 Next 클릭


업그레이드할 database 선택 후 Next 클릭


Yes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Finish 클릭


database 업그레이드 중..


업그레이드 완료 OK 클릭


업그레이드 결과 확인

Close 클릭


sqlplus 로 db상태 및 버전 확인


11g 설치 전 10g DB shutdown


em 종료


vi .profile 수정하기


ORACLE_HOME 경로를 10g -> 11g 로 변경


. ./.profile 적용하기


Xftp를 이용해 11g 설치 파일 이동


11g 파일 압축 해제


database 경로 이동 후 ./runInstaller 실행


체크 해제 후 Next 클릭


Yes 클릭


Upgrade 클릭  후 Next 클릭


Korea 추가 후 Next 클릭


Enterprise Edition 체크 후 Next 클릭

경로 확인 후 Next 클릭


Next 클릭


Finish 클릭


설치 중



Oracle Net Configuration Assistant 설치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설치 완료 Finish 클릭 



DBUA -> Next 클릭

Next 클릭


Yes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Next 클릭


Finish 클릭


설치 중 


결과 확인



스크립트 복사


루트계정에 붙여놓고  ENTER 후 y , y , y


OK 클릭



설치 완료


sqlplus 로 확인 




















1 2 
BLOG main image
파삭의 블로그

by 파삭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3)
ORACLE 설치 (7)
Linux 공부 (2)
오라클 백업과 복구(서진수 선생님) (4)

달력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태그목록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